Gitmoji 란?
git + emoji를 합쳐서 부르는 말로 emoji를 사용하여 commit message를 작성하는 도구이다.
커밋 메세지 작성 시 :art:를 입력하면 🎨로 표시되며 코드의 구조/형식 개선을 의미한다.
이러한 이모지를 이용하여 커밋 메세지를 시각적으로 요약해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.
장점
- 깃모지에 익숙하다면 시각적으로 명확한 작업 내용을 전달 할 수 있다
- 커밋 단위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
- 일반적인 프리픽스에 비해 세분화가 잘 되어있다
단점
- 깃모지에 익숙해 지는 시간이 필요하다.
- 경우에 따라 필요한 깃모지를 찾아 확인하는 수고가 든다. (gitmoji 사이트나 gitmoji-cli를 이용)
- 커밋 메세지의 의미를 이모지와 연결시켜 기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.
커밋 형태 비교
깃모지 사용 사례
Atom 팀은 팀 내부의 깃모지를 정의하여 사용하고있다.
아래는 깃모지의 이미가 정의 된 사이트 이다.
gitmoji
:truck: Move or rename resources (e.g.: files, paths, routes).
gitmoji.dev
gitmoji-cli
터미널을 이용한 깃모지 사용을 위해서는 gitmoji-cli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.
GitHub - carloscuesta/gitmoji-cli: A gitmoji interactive command line tool for using emojis on commits. 💻
A gitmoji interactive command line tool for using emojis on commits. 💻 - carloscuesta/gitmoji-cli
github.com
정리
깃모지는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시각적으로 강한 전달력을 가지고 있는 커밋 메세지이다.
일반적인 프리픽스보다 세분화가 되어있으며, 팀 내에서 정할 긴 커밋 특성을 하나의 이모지로 압축하여 전달할 수 있다. ⇒ 이 경우 문자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것보다 빠른 습득이 가능하며, 한눈에 보기도 좋을 것.
예시. 🪐 : 우주로 가는 코드 space : 우주로 가는 코드
팀이 정의한 커밋 메세지를 이미지와 연결해 빠르게 학습할 수 있고, 색과 형태로 문자보다 빠른 인식이 가능하다.
깃모지라는 것에 대한 학습하기위한 시간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지만, 팀이 정해야하는 프리픽스의 규칙이 추가 될 경우 오히려 학습 시간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.
결론
때문에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여부가 아닌, 문자 프리픽스와 깃모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한다면 깃모지를 선택할 이유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.
📃 Reference
블로그 참고 : https://pilgwon.github.io/post/gitmoji
문자 프리픽스 참고 이미지 : https://github.com/angular/angular/commits/17.0.x
깃모지 참고 이미지 : https://github.com/carloscuesta/gitmoji-cli/commits/master/?after=48c778b9d535983256ec2428156c4cc34fa21444+34
'TIL & WIL > 오늘의 공부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heap out of memory 오류 해결 (0) | 2024.01.06 |
---|---|
개인프로젝트 페이지 로딩 속도 개선 - WebP (2) | 2024.01.05 |
일렉트론(Electron) - 나도 자바스크립트로 데스크탑 앱 개발하고싶어!! (1) | 2023.12.17 |
데이터를 완전히 삭제 시키는 것은 옳은 것인가? (Hard Delete, Soft Delete) (0) | 2023.12.11 |
AWS EC2 멈춤 현상 (CPU 이슈) (1) | 2023.12.07 |